[지리산포럼X월간옥이네] 지리산포럼에서 만난 사람들로만 꽉꽉 채운 충북 옥천의 '시시콜콜 시골잡지' 월간옥이네 9월호를 소개합니다. 지리산포럼의 매분매초 모든 순간을 꼼꼼하게 담아주셨어요! (+α로 참여자 18인의 미니 인터뷰까지😹!!)
올해 포럼에 참여하신 분들에게도, 지리산포럼이 어떤 곳인지 참 궁금했던 분들에게도 큰 선물이 될 것 같습니다. 인터넷 서점과 <월간 옥이네> 스마트스토어에서 지금 바로 구입하실 수 있어요! 정기 구독도 환영🫶
-
⠀
📝 월간 옥이네 9월호 목차
📌 지리산의 첫째 날
-[프롤로그] 뚜벅뚜벅, 지리산포럼 9년의 발자취
-[개막] 세 가지 질문과 대화
-[지금, 다시 시작해야 할 것들] 다양한 활동 영역의 소박하지만 위대한 질문 9가지
📌 지리산의 둘째 날
-[김장하 취재기] “선한 이야기의 힘을 믿습니다" | 경남도민일보 김주완 기자의 ‘어른 김장하 취재기
-[전환의 시기에 필요한 키워드와 전략찾기] 위기의 시대, 우리가 주목해야 할 핵심가치는
-[데이터와 IT 기술을 통한 감시 운동 리부트] TMI 속 '진짜' 가치있는 정보를 찾는 기술 | 투명사회를위한정보공개센터,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 씨에스토, 슬러기쉬해커스
-[우리는 새로운 연대로 더 커질 수 있을까?] 초연결 시대, 진정한 ‘연대’를 꿈꾼다 | 노동·시민사회를 연결하는 솔라시포럼
-[팬덤과 디지털 액티비즘] 팬덤과 디지털의 결합이 만든 새로운 시민운동
-[다이어트는 내일부터, 유해물질 줄이기는 지금부터] '몸 속’ 유해물질, 어디까지 봤니?
-[지역 일상예술과 밴드활동] 이미 곁에 있는 아름다움을 노래하다 | 소소한밴드, 빈둥밴드, 그리고 서와콩이 만드는 일상예술
-[성남 이우학교 주변 지역과 일본의 타루마리와 가미야마 엿보기] 교육이 다음 세대에 물려줘야 할 ‘마을 공동체' | 함께여는교육연구소 우경윤, 장재용 씨
-[70년대생에게 갭위크가 필요한 이유] 나이, 세대, 성별, 활동영역을 떠나 '우리에겐 쉼이 필요하다' | 민주주의기술학교 권지현 씨
-[언젠가 나도 삶을 향유할 수 있을까] 피로사회에서 살아남기
-[시골에서 노래하면서 살고 있습니다] 지금 이곳의 노래 | 빈둥밴드, 소소한밴드, 서와콩이 만든 공연 현장
📌 지리산의 셋째 날
-[보양포럼] 지역 소멸? '연결'과 '환대'로 새롭게 살찌우자 | 지속가능한 지역을 고민하는 ‘보양포럼'
-[다시 시작된 지역개발과 주민들의 이야기] 우리가 지켜야 할 것이 무어냐고 새만금이, 지리산이, 설악산이 묻는다.
-[공익활동 사회적가치 포럼] '스스로의 인정' 기반이 될 공익활동 사회적 인정
-[비영리단체 모금 A-Z] 세상을 바꾸는 활동, 세상을 바꾸는 모금 | 누구나 데이터: 백성주
-[삼달다방] “문턱을 낮추니 연결됐고, 곁을 내어주니 힘이 됐다" | 차별과 배제 없이 사람이 이어지는 공간 삼달다방
-[기후위기에 대처하는 '노장청'의 연대 제안] 망가진 지구를 다음 세대에 물려줄 수는 없다 | 60+기후행동 활동가 8인의 말
-[희곡으로 세상 읽기] 이야기는 끝나도 인생은 계속 되기에
-[더 나은 조직문화를 위한 질문과 대화] 실패할지라도 계속 해야 하는 것
-[생활화학제품 안전한 사용&반려식물 키우기] 다시 보자, 생활화학제품! 키워보자, 반려식물!
-[자연권리선언문 만들기] 함께 쓰는 자연권리선언문 | 자연은 그 자체로 존중받을 권리가 있다
-[지리산에서의 삶과 문학, 그리고 사람이야기] 그대로의 나, 살아있는 말이 있는 곳으로 | 정지아 작가가 전하는 '지역'과 '이야기'
📌 지리산에서의 마지막 날
-[회고의 시간] 지금, 다시 시작
📌 지리산 이야기
-[산내면 추천 방문지] 지리산 온 김에 들렀다 가요 | 산내 주민들이 사랑하는 공간
-[지리산포럼을 함께 만드는] 위로와 힘을 담아 따뜻한 밥상을 지리산포럼 식사준비팀 이철승, 안오순 씨
-[지리산포럼을 만드는 사람들] 사람과 사람, 지역과 지역, 연결과 확장을 돕는 지리산이음을 만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