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이음 활동 소식

사업[지리산포럼2020] 10/17 기후변화와 지리산 #1 - 기후변화를 기록하는 지리산시민과학자

2020-11-30

 

코로나19로 이전과는 다른 세상에서 살게 될 것이라고 합니다. 변화의 계기는 갑자기 찾아왔지만 변화는 천천히, 지속적으로 우리 삶에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그렇다면 우리의 삶의 터전인 지역에는 어떤 변화가 있을까요? 소통과 관계 방식, 이동과 교류방식도 바뀔 것이라고 합니다. 비대면사회가 가속화된다고 하지만 대면사회였던 지역은 어떻게 될까요? 지역에서 살아가는 우리는 어떤 질문을 할 수 있을까요? 우리의 일상, 일, 관계, 소통의 현장인 ‘로컬'의 미래는 어떻게 변할까요? 

 

6회째를 맞이한 「지리산포럼2020」은 코로나19 상황을 감안하여 한꺼번에 많은 인원이 모이는 대신, 참가 규모를 줄이고 개최 시간과 장소를 분산하여 10월 17일부터 24일까지 총 8일간 진행했으며, ‘로컬라이프’를 주제로 한 7개의 주제섹션과 지리산 5개 지역의 로컬섹션, 특별섹션이 운영되었습니다.

 

지리산포럼2020 더 알아보기 [바로가기]

 

10/17 기후변화와 지리산 #1 

기후변화를 기록하는 지리산시민과학자 - 윤주옥(지리산시민과학포럼)

 

<지리산시민과학포럼>은 자연생태, 해설, 생태보전, 대안문화 등에 관심 있는 개인과 단체의 네트워크입니다. <지리산시민과학포럼>이 지리산, 기후변화, 아고산 생태계, 생물계절 등을 키워드로 지리산과 그 주변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기록하기 위해 공부하고, 실천하는 활동을 공유합니다.

 

 

ⓒ윤주옥

 

지리산을 지키는 시민과학자들

 

서울에서부터 구례로 이주한 후에도 국립공원을 지키는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쉿! 소리치지마세요’‘국립공원 계곡 물 속 생물의 보금자리입니다’‘다람쥐에게 도토리를 돌려주세요’등 우리가 국립공원에서 무심코 하는 행동들이 생태계 파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리는 캠페인을 해 왔다. 

사람들이 겨울에도 국립공원에 동물과 식물들이 여전히 살고 있으며, ‘아, 이게 바로 자연이구나’느끼기를 바란다.

  

 

지리산은 3개 광역지자체, 5개 시·군에 둘러싸여 있고, 지리산국립공원을 관리하는 전남, 전북, 경상 3개 사무소가 있다. 그런데 이 관리사무소들이 자원조사를 하는데 서로 행정구역 상의 경계를 넘지 않는 것을 발견했다. 그래서 지리산권에 사는 사람들, 지역의 활동가들이 시·군의 경계를 짓지 않고 공통의 주제로 같이 활동하기 위해 2019년 ‘시민과학과 함께하는 지리산권 상생협력 포럼’을 열고 <지리산시민과학포럼>을 만들었다.

 

우리가 정의하는 시민과학자는 학위가 아닌 ‘애정’을 가지고 국립공원을 바라보는 주민들이다. 실제로 해외에서도 시민과학자 네트워크가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2017년부터 활동해 온 <지리산사람들> 시민과학자들과 1988년에 조성된 성삼재 도로변에 심어진 외래식물들을 조사했다. 오랜 시간이 지나 외래식물의 번식이 지리산 식생을 변하게 할 수도 있겠다 싶어 식생조사를 시작했다. 지리산국립공원에 사람들의 방문 기간과 금지된 기간의 동물 배설물(똥)량을 조사해 동물의 입장에서는 사람들의 방문이 상당한 위협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외래종 번식으로 인한 생태계 변화에 대비하기 위한 하동 대성골 일본빛깔나무 어린 나무 조사(하동)와 멸종위기 조류 양비둘기 관찰(구례)도 지리산에 사는 시민과학자들의 활동이다. 

 

 

ⓒ지리산시민과학포럼

 

 

지리산시민과학자들의 아고산생태계 지키기  

 

<지리산시민과학포럼>은 기후변화를 기록할 지리산 시민과학자라고 하는 게 맞을 것 같다. 2020년 3월, 기후위기 모니터링을 위해 ‘기후위기, 지리산의 변화를 기록하는 시민과학자-식물편’를 주제로 기획했던 워크샵은 코로나19로 취소되었다. 지금은 2021년 다른 방식의 활동을 준비하며 아고산(고산 아래지역) 생태계의 구상나무를 주제로 11월 현장 워크샵을 계획중이다. (2020. 11. 4. 진행) 

 

구상나무는 아고산생태계에 살고 있다. 아고산생태계는 아주 작은 면적으로 분포하고, 특히 국토가 좁은 우리나라에서는 아주 희귀하고 생태적으로 보존 가치가 높다. 국립공원연구원 연구결과에서 최근 10년 간 고사목 개체수는 반야봉 인근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고 증가속도는 천왕봉이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지리산 생태계는 1915년 일본 학자에 의해 최초로 조사, 기록되었다. 당시 생태도를 살펴보면 지금과 크게 다르지 않다. 침엽수가 많이 분포하고 초목림은 국립공원으로 지정, 산림관리를 받고 있다. 1948년 지리산 노고단 스키대회를 위한 벌목, 1955년 지리산 나무 남벌(국립공원 지정 후 남벌 중단), 1971년 바래봉 면양목장 조성, 1970년 ~ 80년대까지 원추리 철쭉축제와 국립공원 야영으로 지리산 생태계는 훼손되고 경관이 바뀌는 아픔을 겪었다. 100년 후 지리산의 모습은 또 어떻게 달라질지 모른다.

 

 

 

ⓒ국립공원연구원

 

 

연구자들이 아고산생태계의 변화를 연구하듯, 지리산 주민들은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지난 8월 24일 기후변화와 지리산을 주제로 ‘아고산생태계는 무엇인지, 왜 중요한지 함께 이야기하고, 국립공원연구원과 산림과학원의 지리산 아고산생태계 연구결과를 듣는 워크샵을 진행했다. 이 워크샵에서 지리산 아고산생태계 모니터링 기반 구축을 논의하고, 네이처링과 함께 10년, 20년 후에도 함께 공유하기 위한 방법들을 모색했다.  

 

아고산생태계는 앞으로 기후변화 기후위기에 민감하게 반응할 것이다. 우리의 삶을 바꾸려는 노력과 국가정책이 바뀔 수 있도록 촉구하고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지리산에 살고 있는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이다. 아고산생태계 모니터링은 지리산시민과학포럼 시민과학자들의 공식제안으로 국립공원연구원과 지리산국립공원사무소가 함께 진행할 계획이다. 구상나무의 고사목, 기후위기에 따라 고사목의 면적은 넓어질 것이다.

 

2021년 모니터링은 훼손된 아고산대 지역의 지속적인 관찰과 변화를 기록하는 photo point monitering과 네이처링 플랫폼에 본인이 맡은 경로의 식물 좌표를 찍는 분포한계선 모니터링 방식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11월 4일 현장워크숍에서 시민과학자들과 연구자들이 함께 세부과제를 결정하고, 시민모니터링 발족으로 활동을 시작하고자 한다.

(참고 : 네이처링 홈페이지 https://www.naturing.net)

 

우리에게 지리산은 ‘경관’이지만 그 곳에 살고 있는 반달곰과 야생동물들, 구상나무와 많은 식물들, 그리고 주민들은 삶의 공간이고 터전이다. 사람의 관점 뿐 아니라 동식물의 입장에서도 지리산을 바라보는 것, 이것이 시민과학자 활동의 시작이기도 하다.

 

 

 

기록 및 정리 | 이경원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