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이전과는 다른 세상에서 살게 될 것이라고 합니다. 변화의 계기는 갑자기 찾아왔지만 변화는 천천히, 지속적으로 우리 삶에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그렇다면 우리의 삶의 터전인 지역에는 어떤 변화가 있을까요? 소통과 관계 방식, 이동과 교류방식도 바뀔 것이라고 합니다. 비대면사회가 가속화된다고 하지만 대면사회였던 지역은 어떻게 될까요? 지역에서 살아가는 우리는 어떤 질문을 할 수 있을까요? 우리의 일상, 일, 관계, 소통의 현장인 ‘로컬'의 미래는 어떻게 변할까요? 6회째를 맞이한 「지리산포럼2020」은 코로나19 상황을 감안하여 한꺼번에 많은 인원이 모이는 대신, 참가 규모를 줄이고 개최 시간과 장소를 분산하여 10월 17일부터 24일까지 총 8일간 진행했으며, ‘로컬라이프’를 주제로 한 7개의 주제섹션과 지리산 5개 지역의 로컬섹션, 특별섹션이 운영되었습니다. 지리산포럼2020 더 알아보기 [바로가기] |
10/17 기후변화와 지리산 #2 씨앗에서 발견하는 ‘오래된 미래’ 함양토종씨앗모임 - 자야 (함양토종씨앗모임) 기후위기 시대에 더 절실해진 토종씨앗-토종농사를 이야기합니다. <함양토종씨앗모임>이 성장해 온 과정과 현재 모습, 지리산작은변화지원센터와 함께한 ‘백전면 토종씨앗 수집조사’ 활동, ‘지리산 마을 장터로 찾아가는 토종씨앗’ 사업을 하면서 느끼고 경험한 것을 공유합니다. |
<함양토종씨앗모임>은 3년차 회원 네트워크로 기후위기 관련해 주장을 내세울 수 있는 조직적인 모임은 아니다. 기후위기를 전제로 생겨나지는 않았지만 10 여명의 회원들을 중심으로 기후위기에 관심을 가지고 각자의 방식으로 활동하고 있다.
씨앗모임은 처음 귀촌자들이 소규모지만 건강한 텃밭과 밥상에 대한 기대감으로 모이였다. 우리나라는 씨앗자급률과 종자보유율이 세계에서 아주 낮은 수준이다. 예전의 맛이 그리운 회원들은 가공 처리된 보라색 완두콩 씨앗, 형광으로 파랗게 빛나는 무 씨앗의 자연스럽지 못함에서 GMO 반대와 씨앗주권, 씨앗자급력에 대한 관심이 더 커졌다.
ⓒ함양토종씨앗모임
기후위기와 토종 씨앗
코로나19로 지역에서 제대로 장터가 열리지 못하고 있지만 올해부터 지리산권에서 열리는 장터를 찾아가는 장터사업을 시작했다. 유일하게 열린 산청 목화장의 8월 기후위기 캠페인 참가 준비를 하면서 ‘기후위기와 함양토종씨앗모임이 무슨 상관이 있지?’라는 질문이 나왔다.
막연하게 ‘상관있다’고 생각했지만 한 번도 얘기를 나눠보지 않았던 주제였다. 회원들은 다큐멘터리 ‘seeds of time’(2013. 시간의 씨앗)를 함께 보며 공부를 시작했다. 기후위기는 곧 식량 위기일 수밖에 없으며, 인간의 필요에 맞춰 환경을 바꾸는 농사방식, 기후위기를 가속화시키는 농업방식을 비판한 내용이었다.
우리의 필요에 의해 환경을 맞출 수 있는 시기는 얼마 남지 않았다. 이제는 우리가 환경에 맞춰 농사를 지어야 하는 시기이며, 그 고민의 답은 생물의 다양성, 종자의 다양성이다. 종자의 다양성이 어느 정도 유지되면 개량종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연구도 가능해진다. 세계종자은행에 모이지 않은 토종 씨앗들이 존재하며 각자의 텃밭이 씨앗 보관소라는 메시지에 씨앗모임이 하는 활동의 의미를 발견하고 자극을 받았다.
기후위기시대의 지속가능한 농사
기후위기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지속가능한 농사를 위해서는 사라져가는 토종씨앗을 수집, 재배, 채종, 증식하는 활동들, 다품종을 재배하는 소농들이 많아져야 한다. 기계, 농약, 화학비료, 비닐 사용을 줄여 탄소를 덜 배출하는 농법, 특히 땅과 공기를 함께 지키는 무경운 방식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가능하면 자급과 지역 안에서 나누고 소비하는 방식이 필요하다.
ⓒ지리산이음
좋은 삶은 한 알의 씨앗에서 시작됩니다
토종씨앗모임은 2019년 <지리산작은변화센터>의 지원을 받아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함양 백전면 토종씨앗 수집과 ‘토종씨앗으로 농사짓기’강좌가 대표적이다.
상반기‘함양토종씨앗 지금 만나러 갑니다’는 12개 마을을 다니며 토종씨앗을 수집하고, 직접 채종한 토종씨앗으로 농사짓는 어르신들과 씨앗과 농사, 일상, 농사의 가치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 시어른에게 받은 토종씨앗으로 농사를 짓고 좋은 것은 나누고 살았다는 예전 이야기, ‘돈은 안 되지만 맛있으니까 자식 위해 계속 농사를 짓는다’는 어르신들의 귀한 경험을 듣는 활동이었다.
하반기에는 토종씨앗, 토종농사, 로컬푸드의 순환을 주제로 ‘우리동네 토종씨앗으로 농사짓기’강좌를 열었다. 거창 토종씨앗보급소와 공동채종포로 견학을 다녀오기도 했다.
2020년은 코로나로 활동이 활발하지는 않았지만 봄·가을 토종씨앗과 모종 나눔, 토종씨앗 증식을 위한 공동텃밭(‘할머니의 씨앗을 우리의 텃밭으로’), 지리산 마을 장터로 찾아가 토종씨앗을 알리고 주민들과 소통하고 연대하는 장터사업을 하고 있다. 토종쌀로 만든 뻥튀기와 가래떡, 손으로 만드는 텃밭 팻말, 비닐 대신 잎으로 감싼 포장, 탱자나무 가시로 만든 시식용 이쑤시개는 ‘작은 것에서 사람들의 인식을 바꿀 수 있다.’를 깨닫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다큐멘터리 ‘seeds of time’를 보면서 개량된 감자의 보급으로 소멸위기에 처한 재래종 감자가 원주민들이 1400 여종의 재래종 감자를 공동으로 심으면서 부활하고, 공동체 복원, 문화부흥으로 이어지는 페루 안데스 산맥 마을과 2종에서 2만5천종의 씨앗을 나누는 단체로 성장한 미국 아이오하주 토종씨앗단체 사례가 아주 인상적이었다. 우리나라도 일제 강점기를 거치며 많은 토종씨앗이 사라졌지만 여전히 토종쌀 450여 종이 남아있다.
씨앗은 과거와 미래를 잇는 뿌리가 된다.
우리가 고민하는 좋은 삶도 결국 이런 연결감을 되찾는 것에서 시작될 것이다.
기록 및 정리 | 이경원
코로나19로 이전과는 다른 세상에서 살게 될 것이라고 합니다. 변화의 계기는 갑자기 찾아왔지만 변화는 천천히, 지속적으로 우리 삶에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그렇다면 우리의 삶의 터전인 지역에는 어떤 변화가 있을까요? 소통과 관계 방식, 이동과 교류방식도 바뀔 것이라고 합니다. 비대면사회가 가속화된다고 하지만 대면사회였던 지역은 어떻게 될까요? 지역에서 살아가는 우리는 어떤 질문을 할 수 있을까요? 우리의 일상, 일, 관계, 소통의 현장인 ‘로컬'의 미래는 어떻게 변할까요?
6회째를 맞이한 「지리산포럼2020」은 코로나19 상황을 감안하여 한꺼번에 많은 인원이 모이는 대신, 참가 규모를 줄이고 개최 시간과 장소를 분산하여 10월 17일부터 24일까지 총 8일간 진행했으며, ‘로컬라이프’를 주제로 한 7개의 주제섹션과 지리산 5개 지역의 로컬섹션, 특별섹션이 운영되었습니다.
지리산포럼2020 더 알아보기 [바로가기]
10/17 기후변화와 지리산 #2
씨앗에서 발견하는 ‘오래된 미래’ 함양토종씨앗모임 - 자야 (함양토종씨앗모임)
기후위기 시대에 더 절실해진 토종씨앗-토종농사를 이야기합니다. <함양토종씨앗모임>이 성장해 온 과정과 현재 모습, 지리산작은변화지원센터와 함께한 ‘백전면 토종씨앗 수집조사’ 활동, ‘지리산 마을 장터로 찾아가는 토종씨앗’ 사업을 하면서 느끼고 경험한 것을 공유합니다.
<함양토종씨앗모임>은 3년차 회원 네트워크로 기후위기 관련해 주장을 내세울 수 있는 조직적인 모임은 아니다. 기후위기를 전제로 생겨나지는 않았지만 10 여명의 회원들을 중심으로 기후위기에 관심을 가지고 각자의 방식으로 활동하고 있다.
씨앗모임은 처음 귀촌자들이 소규모지만 건강한 텃밭과 밥상에 대한 기대감으로 모이였다. 우리나라는 씨앗자급률과 종자보유율이 세계에서 아주 낮은 수준이다. 예전의 맛이 그리운 회원들은 가공 처리된 보라색 완두콩 씨앗, 형광으로 파랗게 빛나는 무 씨앗의 자연스럽지 못함에서 GMO 반대와 씨앗주권, 씨앗자급력에 대한 관심이 더 커졌다.
ⓒ함양토종씨앗모임
기후위기와 토종 씨앗
코로나19로 지역에서 제대로 장터가 열리지 못하고 있지만 올해부터 지리산권에서 열리는 장터를 찾아가는 장터사업을 시작했다. 유일하게 열린 산청 목화장의 8월 기후위기 캠페인 참가 준비를 하면서 ‘기후위기와 함양토종씨앗모임이 무슨 상관이 있지?’라는 질문이 나왔다.
막연하게 ‘상관있다’고 생각했지만 한 번도 얘기를 나눠보지 않았던 주제였다. 회원들은 다큐멘터리 ‘seeds of time’(2013. 시간의 씨앗)를 함께 보며 공부를 시작했다. 기후위기는 곧 식량 위기일 수밖에 없으며, 인간의 필요에 맞춰 환경을 바꾸는 농사방식, 기후위기를 가속화시키는 농업방식을 비판한 내용이었다.
우리의 필요에 의해 환경을 맞출 수 있는 시기는 얼마 남지 않았다. 이제는 우리가 환경에 맞춰 농사를 지어야 하는 시기이며, 그 고민의 답은 생물의 다양성, 종자의 다양성이다. 종자의 다양성이 어느 정도 유지되면 개량종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연구도 가능해진다. 세계종자은행에 모이지 않은 토종 씨앗들이 존재하며 각자의 텃밭이 씨앗 보관소라는 메시지에 씨앗모임이 하는 활동의 의미를 발견하고 자극을 받았다.
기후위기시대의 지속가능한 농사
기후위기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지속가능한 농사를 위해서는 사라져가는 토종씨앗을 수집, 재배, 채종, 증식하는 활동들, 다품종을 재배하는 소농들이 많아져야 한다. 기계, 농약, 화학비료, 비닐 사용을 줄여 탄소를 덜 배출하는 농법, 특히 땅과 공기를 함께 지키는 무경운 방식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가능하면 자급과 지역 안에서 나누고 소비하는 방식이 필요하다.
ⓒ지리산이음
좋은 삶은 한 알의 씨앗에서 시작됩니다
토종씨앗모임은 2019년 <지리산작은변화센터>의 지원을 받아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함양 백전면 토종씨앗 수집과 ‘토종씨앗으로 농사짓기’강좌가 대표적이다.
상반기‘함양토종씨앗 지금 만나러 갑니다’는 12개 마을을 다니며 토종씨앗을 수집하고, 직접 채종한 토종씨앗으로 농사짓는 어르신들과 씨앗과 농사, 일상, 농사의 가치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 시어른에게 받은 토종씨앗으로 농사를 짓고 좋은 것은 나누고 살았다는 예전 이야기, ‘돈은 안 되지만 맛있으니까 자식 위해 계속 농사를 짓는다’는 어르신들의 귀한 경험을 듣는 활동이었다.
하반기에는 토종씨앗, 토종농사, 로컬푸드의 순환을 주제로 ‘우리동네 토종씨앗으로 농사짓기’강좌를 열었다. 거창 토종씨앗보급소와 공동채종포로 견학을 다녀오기도 했다.
2020년은 코로나로 활동이 활발하지는 않았지만 봄·가을 토종씨앗과 모종 나눔, 토종씨앗 증식을 위한 공동텃밭(‘할머니의 씨앗을 우리의 텃밭으로’), 지리산 마을 장터로 찾아가 토종씨앗을 알리고 주민들과 소통하고 연대하는 장터사업을 하고 있다. 토종쌀로 만든 뻥튀기와 가래떡, 손으로 만드는 텃밭 팻말, 비닐 대신 잎으로 감싼 포장, 탱자나무 가시로 만든 시식용 이쑤시개는 ‘작은 것에서 사람들의 인식을 바꿀 수 있다.’를 깨닫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다큐멘터리 ‘seeds of time’를 보면서 개량된 감자의 보급으로 소멸위기에 처한 재래종 감자가 원주민들이 1400 여종의 재래종 감자를 공동으로 심으면서 부활하고, 공동체 복원, 문화부흥으로 이어지는 페루 안데스 산맥 마을과 2종에서 2만5천종의 씨앗을 나누는 단체로 성장한 미국 아이오하주 토종씨앗단체 사례가 아주 인상적이었다. 우리나라도 일제 강점기를 거치며 많은 토종씨앗이 사라졌지만 여전히 토종쌀 450여 종이 남아있다.
씨앗은 과거와 미래를 잇는 뿌리가 된다.
우리가 고민하는 좋은 삶도 결국 이런 연결감을 되찾는 것에서 시작될 것이다.
기록 및 정리 | 이경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