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이음 활동 소식

사업지리산포럼2017 참가자 모집 - 시민사회, 경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관계망으로

2017-08-07


지리산포럼은 1년에 한 차례, 지리산에 모여서 공유할만한 가치가 있고 사람들의 마음과 생각을 움직일 수 있는 아이디어와 구상, 경험과 계획 등을 발표하고, 지금과는 다른 새로운 사회를 열망하는 사람들이 서로 교류하는 포럼입니다. (** 2015년 시작된 지리산이음포럼의 이름이 올해부터 '지리산포럼'으로 바뀌었습니다)


▢ 연도별 포럼 주제 

- 2015년 주제 : 세상을 보는 색다른 생각, 지리산에 모이고 잇다 (120명 규모) 

- 2016년 주제 : 청년, 지리산에 모여 청년을 이야기하다 (100명 규모)


지리산포럼 2017 _ 주제

한국의 시민사회가 본격적으로 형성된 87년 민주화운동 이후 30년이 지났습니다. 그동안 한국의 시민사회는 운동의 주제별로 분화・전문화되면서 단체별・영역별로 성장해왔습니다. 그리고 최근 10년 동안은 조직구성 방식도 전통적인 시민사회조직을 넘어 사회적기업, 소셜벤쳐, 협동조합, 온라인 기반의 커뮤니티 조직, 개인활동가로 확장해왔습니다. 87년 이후, 한 세대가 지난 30년이 흘렀습니다. 그동안 시민사회도 많이 성장했습니다. 광장에서의 촛불시민혁명은 30년 동안의 축적된 시민들의 역량이 만들어낸 결과이기도 합니다. 그 과정에 시민사회의 중요한 역할도 있었습니다. 반면, 시민사회가 영역별로 전문화되고 분화되면서 자연스럽게 경계가 구분되면서, 서로 교류하고 협력하는 문화가 부족하다는 이야기도 들립니다. 또 조직 내부에 여러가지 문제가 드러나면서 조직 문화와 운영 방식에도 큰 변화가 필요하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2017년 지리산포럼에서는 다양한 영역의 활동가들이 모여 조직 구성원들간에, 영역과 조직의 경계를 뛰어넘어 새로운 관계를 맺는 방식으로 전환하기 위한 활동가들의 대화와, 토론, 교류의 시간을 가져보려고 합니다. 



지리산포럼 2017 _ 개요



일시

2017년 9월 1일(금) ~ 3일(일) / 2박 3일 숙박 

장소

전북 남원시 산내면 일대 (모이는 장소 : 남원시 산내초등학교)

숙박/식사

산내면의 마을 펜션, 민박, 게스트하우스와 마을 식당 등 (참가자분들에게 추후 안내)

참가비

10만원 (2박 3일간의 포럼 참가비, 숙박비, 식사비, 음악회 입장권 모두 포함) 

입금계좌

농협 351-0902-9751-73 (사회적협동조합지리산이음)

주관

사회적협동조합 지리산이음 

공동주최

사회적협동조합 지리산이음, 작은자유, 지리산권시민사회단체협의회, 더플랜B, 서울시청년허브, 서울시NPO지원센터, 서울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 

협력

아름다운재단, 지리산문화공간토닥, 지리산여행협동조합, 실상사


정원 초과로 참가자 접수를 마감합니다




[지리산포럼2017 - 청년섹션]은 별도의 기획팀이 "청년이 청년답기 위해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      ]"를 주제로 5개의 주제테이블을 운영할 예정입니다. 청년섹션에 참가하고 싶으신 분은 아래 링크를 통해 별도로 신청해주시기 바랍니다.


정원 초과로 참가자 접수 마감합니다


지리산포럼 2017 _ 섹션

_ 청년, 공익활동, 사회적경제, 지리산을 주제로 한 4개 섹션이 함께 모이는 지리산포럼


주제섹션

내용

청년섹션

10명의 청년포럼기획자들이 30명의 청년 참가자들과 함께 청년섹션을 운영합니다.

[청년이 청년답기 위하여, 우리에게 필요한건 " "이다]는 테마로 9월 2일(토) 오전, 5가지의 지정 주제 토론이 진행됩니다. ( 지리산포럼 청년섹션 내용 자세히 보기 )

(1) 청년세대 안에 있는 성차별을 해소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2) 청년세대가 시골에서 살아가려면 무엇이 필요한가요?

(3) 청년들에게 정말 필요한 배움은? 청년에게 필요한 배움터 상상하기

(4) 지속가능한 청년활동이 가능하려면?

(5) 동료력 높이기, 어떻게 가능할까 (부제 : 너, 내 동료가 되라)

공익활동섹션

시민사회 일반, 인권운동, 환경운동, 여성운동, 풀뿌리운동, 중간지원조직별로 50명의 참가자들과 함께 공익활동 섹션을 운영합니다. 9월 2일(토) 오전, 영역별 코디네이터들과 함께 참가자들이 자유롭게 주제를 정해서 섹션별 대화테이블을 운영합니다.

사회적경제 섹션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소셜벤쳐 등 사회적경제 분야에서 활동하는 30명의 사람들이 모여서 사회적경제 섹션을 운영합니다. 9월 2일(토) 오전 영역별 코디네이터들과 함께 참가자들이 자유롭게 주제를 정해서 섹션별 대화테이블을 운영합니다.

지리산 섹션

지리산권시민사회단체협의회가 지리산권의 시민사회단체 및 커뮤니티 활동가들과 함께 지리산 섹션을 운영합니다. 9월 2일(토) 오전, 아래와 같이 4가지 주제별 발표와 토론이 진행됩니다.

(1) 지리산 시민운동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봅니다. 

(2) 산내면의 산내마을신문의 사례를 통해서 마을신문과 매체에 대한 이야기를 듣습니다. 

(3) 함양군에 있는 공간 "빈둥"과 "농땡이 밴드"의 활동 사례를 통해 공간과 협동의 이야기를 듣습니다. 

(4) 구례군의 지리산c 협동조합의 사례를 통해 협동조합과 사회적 기업 그리고 그들의 활동을 듣습니다.



지리산포럼 2017 _ 프로그램 및 일정

_ 참가자들이 현장에서 주제를 제안하고, 자발적으로 참여하면서 대화를 나누는 언컨퍼런스 방식으로 운영합니다.


날짜내용

9월 1일

(금)

| 오후
- 4시 : 접수 및 인사
- 5시 : 개막식 겸 특별강연 : 윤정숙 (녹색연합 공동대표, 더 이음 공동대표, 전 아름다운재단 상임이사) 

| 저녁 : 섹션별 참가자들간의 교류 시간

9월 2일

(토)

| 오전 : 섹션별로 참가자들이 제안한 대화 테이블 운영 
| 오후 : 전체 참가자가 모여 섹션과 상관없이 경계를 뛰어넘는 주제를 제안해서 대화하는 오픈 테이블
| 저녁 : 지리산어쿠스틱음악회 음악회를 함께 본 후 교류의 시간

9월 3일

(일)

| 오전 : 회고의 시간 및 폐막식

** 12시에 포럼의 모든 일정이 마무리됩니다.




제3회 지리산어쿠스틱음악회


지리산포럼에 맞춰 매년 가을 실상사 경내에서 지리산어쿠스틱음악회가 열립니다. 

지리산포럼2017 참가자는 음악회를 무료로 즐기실 수 있습니다. 


일시 : 9월 2일(토) 저녁 7시 

장소 : 실상사 경내 

주관 : 지리산이음 

기획/연 : 숨엔터테인먼트 

협력 : 지리산문화공간토닥, 실상사, 지리산여행협동조합


제3회 지리산어쿠스틱음악회 관람 신청


** 지리산어쿠스틱음악회는 티켓이 구매한 사람만 입장할 수 있는 유료 공연입니다.

** 미리 관람신청을 해주시면 음악회를 준비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 티켓은 현장에서 전해드리며, 관람료도 현장에서 주셔도 됩니다. 

** 혹시모를 태풍이나 폭우, 기타 불가피한 사정으로 장소 및 시간이 변경되거나 취소될 경우, 미리 문자로 연락드리겠습니다.

0